<공간회상/공재고택>
흔적의 상상으로 조우한 윤두서
글 : 박경철
사진 : 김철성
조선의 영화(榮華)는 지금과 다른 걸까.
켜켜이 펼쳐진 청보리 밭을 넘어 흔적이 멈춘 한적한 산길에 들자, 숲은 나무의 가지를 길가로 뻗어 이방인의 차를 스치듯 만진다.
인기척이 그리워 내민 가지와 차창이 스치는 소리에 돌아본 창밖에 폐허가 된 집터를 지나고 있었다.
시선이 고정돼 머리를 돌아보지만 숲의 작은 손과 뒤틀린 길의 향배는 뱃머리를 흔들 듯 넘실거리는 파도의 너울처럼 이방인의 눈을 한곳에 머물지 못하게 하고 있다.
못내 시선 밖으로 사라져 버린 민가의 흔적은 선생을 조우하려 나선 여정의 행로를 상상하게 한다.
대문의 흔적 없이 마당이 트인 집 마루는 왼쪽 높은 지대의 사당 앞에 야자수를 심고
오른쪽 길게 배치된 사랑채 맞배지붕 끝자락 길을 경계 삼아 놓아 고목의 향나무를 거느리고 있으며 앞산을 비켜 트인 곳에는 바다가 보인다.
현산면 백포마을 해변을 향한 공재의 고택은 마을 뒤쪽에 나지막 솟은 망매산을 주봉으로 양쪽 산줄기를 안으며 바다를 향해 있다.
선생의 흔적은 멀리서 찾아온 이방인들을 스스럼없이 받아주었고 사당으로 발길을 향하게 했다.
누구랄 것도 없이 벽처럼 가로놓인 사랑채를 대면하며 오른쪽 사당으로 향하고 있었고 높게 자란 한옥 앞의 야자수는 흔적의 공간으로 도입하는 열차 역의 깃발 같았다.
노랗게 빛 바랜 벽화의 색감은 단색의 색감으로 표현할 수 없는 시간의 혼재함을 막역히 느낄 수 있으며 시선의 주변을 경건하게 만드는 주술 같은 눈가림 같다.
가문의 흔적만으로 남긴 공간을 수호하는 기운에게 인사를 건 낸 후에야 펼친 벽화의 그림 속을 이야기 듣는 듯이 바라볼 수 있었다.
빛바랜 노란 배색 위에 나비와 연꽃 곡식과 풍요를 느낄 수 있는 눈의 펼침은 조선의 남도에서 그 영화를 빛 발하던 고산 윤선도 가문의 시간을 거슬러 짐작할 수 있다.
조용히 속삭이듯 말하는 가문의 소리는 조용하게 남겨진 빈 공간의 외로움과 대비되는 서운함이 배어 나오는 듯하다.